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알고리즘
- 쿼리
- 인덱스튜닝
- dfs
- 결합인덱스조건
- 인덱스
- 오라클
- Join
- storage_integration
- 데이터분석
- 조인
- 결합인덱스란
- 율코딩
- 개발
- 백트래킹
- DB
- 문제풀이
- S3
- snowflake
- 데이터베이스
- dbeaber
- HackerRank
- sql
- Index
- 자료구조
- Oracle
- 코딩
- AWS
- 백준
- MySQL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자료구조 (1)
율코딩
[자료구조] 퀵정렬 VS 병합정렬
퀵 정렬 분할 정복 (Devide and Conquer) 기법과 재귀 알고리즘을 이용한 정렬 알고리즘 기준값(Pivot)을 중심으로 자료를 왼쪽 부분집합과 오른쪽 부분집합으로 분할한다. 왼쪽 부분집합으로 기준값보다 작은 원소를 이동시키고, 오른쪽 부분집합으로 기준값보다 큰 원소를 이동시킨다. 퀵 정렬은 분할과 정복(Divide and Conquer)라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한다. 특징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내장 정렬 함수는 대부분은 퀵 정렬을 기본으로 한다. 성능은 pivot 값을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. 시간 복잡도: 최선의 경우 O(NlogN), 최악의 경우 O(N^2) 활용 케이스 메모리가 부족하고(병합정렬 사용 불가)할 경우 배열이 이미 정렬/역정렬되어있을 가능성이 없고(퀵..
자료구조
2022. 8. 15. 19:01